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313

2_2 HSV 색상 모델 HSV 색상 모델 RGB 모델이 인간의 색상 정보 체계와는 다르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간이 인식하는 색상과 흡사한 색상 모델을 만들기 위해 고안된 색상 모델이다. H는 색상, S는 채도, V는 명도를 의미한다. Hue, Saturation, Value의 머리글자를 따서 HSV 색상 모델이라고 한다. 색상(Hue)은 색의 원색을 나타내며 원뿔 둘레를 따라 0~360도의 각도로 표현된다. 0도는 빨간색, 120도는 녹색, 2240도는 파란색을 나타낸다. 채도(Saturation)는 색의 순수도 또는 순수한 색의 흰빛에 의해 희석된 정도의 척도를 0~1 사이의 값으로 나타낸다. 명도(Value)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며 역시 0~1 사이의 값을 갖는다. 명도는 원뿔에서 세로축에 해당되며 가장 아래쪽이 0으로.. 2022. 3. 24.
2_1 RGB 컬러 영상을 R G B로 분리하기 컬러 분리 origin_img = cv2.imread('lena2.jpg') RGB_img = cv2.cvtColor(origin_img, cv2.COLOR_BGR2RGB) Red_img, Green_img, Blue_img = cv2.split(RGB_img) R채널만 출력 G채널만 출력 B채널만 출력 실제 표현되는 색상과 유사하게 보려면 Blue채널 이외는 0 으로 바꾼다. 2022. 3. 23.
1_5 Colab에서 영상 불러오기 영상 불러오기 구글 코랩에서 기본 작업 후, 영상을 구글 드라이브에 올리고 새파일로 복사하는 과정이다. 구글드라이브 마운트 from google.colap import drive drive.mount('/content/drive') 또는 이렇게해도 된다. drive.mount('drive') 영상 올리기 from Google.colab.patches import cv2_imshow import cv2 img = cv2.imread('./lena.jpg') cv2_imshow(img) 이미지 새 이름으로 복사하기 cv2.imwrite('/lena2.jpg', img) 같은 디렉터리에 두 파일이 있다. 원본 'Lena.jpg', 사본 'lena2.jpg'. 2022. 3. 23.
1_4 영상처리 응용 분야 영상처리 응용 분야 내용기반 영상 검색 기법 예로서, 의료 영상에 포함된 내용인 컬러, 질감, 모양 정보를 추출하여 수치화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색인을 만든다. 이를 이용 유사 영상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유사 연구로 얼굴인식, 지문인식, 행동인식, 정맥인식 등이 있다. 인공위성 영상분석 인공위성이 수집한 넓은 지역의 영상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위성영상에서 강, 호수에서 색상 값 차이를 통해 하천투명도를 이용한 수질 측저을 할 수 있다. 의료영상분석: 백혈구 세포 자동 분류 자동 혈구 검사 항목 중 백혈구감별계수는 전체 백혈구 수에 대한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단핵구, 림프구 등 분포를 파악하여 병증을 진단한다. 그러나 자동혈구분석기에서 전체 검사.. 2022. 3. 23.
1_3 영상처리 기법들 영상처리 기법들 영상 화질 개선 기법 영상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 영상의 밝기 성질의 개선, 영상의 명암 대비를 개선하여 영상의 선명도 향상을 시도하는 방법이다. 영상의 기하학적 변형 기법 영상을 회전, 이동, 크기 변환 기법이다. 영상 획득 시에 발생된 여러 가지 기하학적 오류를 개선하거나 영상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영상 변환(Image Transformation) 영상은 보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다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영상 변환으로는 공간 영역 상에 존재하는 픽셀을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으로 변형하는 방법이며, 이를 통해 영상의 명암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공간 주파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영상 변환 기법은 푸리.. 2022. 3. 22.
1.2 영상처리의 기초 영상처리의 기초 영상 픽셀(pixel, 화소) 영상에서 가장 기본 단위는 픽셀(pixel, 화소)로 텔레비전이나 사진에서 화면을 나눈 최소 단위 면적이다. 이러한 픽셀들은 8비트 그레이 영상으로 표현될 경우 0~255사이의 값을 갖는다. 영상 해상도(resolution) 영상의 해상도는 화면에서 표현되는 영상의 픽셀수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영상을 표현하는데 '가로×세로'로 몇 개의 픽셀이 사용되었는가를 말한다. 해상도가 1024×786이라면 가로 픽셀수가 1024개, 세로 픽셀수가 786개이다.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ppi(pixel per inch)는 픽셀의 밀도를 나타낸다. 프린터 인쇄물 해상도는 dpi(dot per inch)를 사용한다. 영상 유형(mode) 영상 유형은 크게 그레이스케일.. 2022.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