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상처리의 기초
영상 픽셀(pixel, 화소)
영상에서 가장 기본 단위는 픽셀(pixel, 화소)로 텔레비전이나 사진에서 화면을 나눈 최소 단위 면적이다. 이러한 픽셀들은 8비트 그레이 영상으로 표현될 경우 0~255사이의 값을 갖는다.
영상 해상도(resolution)
영상의 해상도는 화면에서 표현되는 영상의 픽셀수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영상을 표현하는데 '가로×세로'로 몇 개의 픽셀이 사용되었는가를 말한다. 해상도가 1024×786이라면 가로 픽셀수가 1024개, 세로 픽셀수가 786개이다.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ppi(pixel per inch)는 픽셀의 밀도를 나타낸다. 프린터 인쇄물 해상도는 dpi(dot per inch)를 사용한다.
영상 유형(mode)
영상 유형은 크게 그레이스케일과 트루컬러 영상으로 나눈다. 그레이스케일은 색상 정보 없이 오직 밝기 정보로만 구성된 영상이다. 1개 화소는 1바이트로 0~255까지이다. 0은 가장 어두운 검정색을 255는 가장 밝은 흰색이다.
트루컬러는 24비트 트루컬러와 32비트 트루컬러로 나뉜다. 24비트는 RGB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각각 1바이트씩 255×255×255로 16,777,216가지이다. 0이 포함되기 때문에 16,581,375가 아니다. 32비트는 RGB외에 Alpha 포함해서 4비트로 구성된다.
반응형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 > OpenCV로 배우는 영상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_1 RGB 컬러 영상을 R G B로 분리하기 (0) | 2022.03.23 |
---|---|
1_5 Colab에서 영상 불러오기 (0) | 2022.03.23 |
1_4 영상처리 응용 분야 (0) | 2022.03.23 |
1_3 영상처리 기법들 (0) | 2022.03.22 |
1_1 디지털 영상처리 개요 및 코랩(Colab) 환경 구축하기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