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SV 색상 모델
RGB 모델이 인간의 색상 정보 체계와는 다르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간이 인식하는 색상과 흡사한 색상 모델을 만들기 위해 고안된 색상 모델이다. H는 색상, S는 채도, V는 명도를 의미한다. Hue, Saturation, Value의 머리글자를 따서 HSV 색상 모델이라고 한다.
색상(Hue)은 색의 원색을 나타내며 원뿔 둘레를 따라 0~360도의 각도로 표현된다. 0도는 빨간색, 120도는 녹색, 2240도는 파란색을 나타낸다. 채도(Saturation)는 색의 순수도 또는 순수한 색의 흰빛에 의해 희석된 정도의 척도를 0~1 사이의 값으로 나타낸다. 명도(Value)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며 역시 0~1 사이의 값을 갖는다. 명도는 원뿔에서 세로축에 해당되며 가장 아래쪽이 0으로 검은색을 나타내고 가장 위쪽이 1로 흰색을 나타낸다.


- HSV_img = cv2.cvtColor(RGB_img, cv2.COLOR_RGB2HSV): 불러온 영상의 채널 순서를 RGB에서 HSV 순으로 바꾼다.
- H_img, S_img, V_img = cv2.split(HSV_img): split() 함수를 사용해서 쉽게 각 채널별(8비트씩)로 분할.
반응형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 > OpenCV로 배우는 영상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_4 YIQ 색상 모델 (1) | 2022.03.24 |
---|---|
2_3 YCrCb 색상 모델 (0) | 2022.03.24 |
2_1 RGB 컬러 영상을 R G B로 분리하기 (0) | 2022.03.23 |
1_5 Colab에서 영상 불러오기 (0) | 2022.03.23 |
1_4 영상처리 응용 분야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