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인공지능

인공지능의 "role" 구분

by 열공노년 2025. 4. 16.
반응형

인공지능의  "role" 구분

인공지능의  "role" 구분은 인공지능과의 대화에서 각 참여자의 역할을 정의하는 개념입니다. 특히 ChatGPT와 같은 AI 모델에서는 이러한 역할 구분이 대화의 흐름과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role: 각 참여자의 역할 설명

1. "user" : 질문자

  • 의미: 사용자, 즉 질문을 하는 사람입니다.
  • 역할:
    • 궁금한 점을 질문합니다.
    • 명령을 내리거나 요청을 전달합니다.
    • 대화의 흐름을 이끌어 갑니다.
  • 예시:
    • "오늘 날씨 어때?"
    • "이 문장을 번역해 줘."
    • "파이썬에서 리스트는 어떻게 쓰나요?"

👉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대화의 목적을 결정하며, AI가 따라가게 됩니다.


2. "system" : 페르소나

  • 의미: AI의 성격이나 말투, 태도 등을 설정하는 초기 지침입니다.
  • 역할:
    • AI의 말투, 지식수준, 대화 스타일 등을 정의합니다.
    • 일반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대화의 뼈대를 형성합니다.
  • 예시:
    • "이 AI는 친절하고 이해하기 쉬운 말투를 사용하도록 한다."
    • "전문가의 관점에서 설명하되, 쉬운 언어를 사용한다."
    • "간단명료한 답변을 주로 한다."

👉 마치 연극의 배역을 미리 정해두는 각본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시스템 역할은 대화 전에 AI의 페르소나(Persona) 를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3. "assistant" : 응답, 정보 제공자

  • 의미: AI(예: ChatGPT)로,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하는 존재입니다.
  • 역할:
    • 질문에 맞는 답을 합니다.
    • 정보를 제공하거나 조언을 줍니다.
    • 명령을 수행하거나 대화를 이어갑니다.
  • 예시:
    • "오늘 서울의 날씨는 맑고 20도입니다."
    • "파이썬의 리스트는 여러 값을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
    • "번역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의 요청을 해석하고 적절하게 응답하는 것이 주요 임무입니다.


🔸 대화 예시로 보는 역할 구조

 

역할  내용
"user" "로마는 언제 건국되었나요?"
"system" (내부적으로) "assistant는 역사 전문가처럼 말하고, 존댓말을 사용한다."
"assistant" "로마는 기원전 753년에 건국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요약

 

역할  설명  비유
"user" 질문하는 사람 학생, 고객
"system" AI의 성격을 미리 정하는 역할 연극 대본 속 지시문
"assistant" 질문에 응답하는 AI 선생님, 도우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