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인공지능

‘인공지능’과 ‘자동화’

by 열공노년 2025. 4. 15.
반응형

‘인공지능’과 ‘자동화’

‘인공지능’과 ‘자동화’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개념이지만, 그 목적과 작동 방식, 적용 범위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은 이 두 개념의 차이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정의의 차이

  •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하여 학습, 추론, 판단, 문제 해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예: 챗GPT, 자율주행차, 이미지 인식, 음성비서 등
  • 자동화(Automation)
    사람이 하던 작업을 정해진 절차와 규칙에 따라 기계나 시스템이 자동으로 수행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예: 공장 로봇 팔, 엘리베이터 작동, 자동문 등

2. 주요 목적

 

구분 인공지능   자동화
목적 사고하고 학습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 반복적인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
목표 지능적인 판단 정확한 반복 실행

 


3. 기술적 특징

 

요소  인공지능 자동화
학습 능력 있음 (기계학습, 딥러닝 등) 없음 (정해진 규칙만 따름)
상황 대응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 가능 조건이 바뀌면 오작동 가능성 있음
예시 기술 챗봇,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 엘리베이터, 자동세탁기, 컨베이어벨트

4. 예시로 보는 차이

  • 자동화된 주차 시스템
    – 자동차를 정해진 궤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시켜 주차함
    – 정해진 위치, 거리, 센서 기반 움직임
    자동화
  • AI 기반 자율주행 주차 시스템
    – 다양한 주차 공간을 인식하고 판단해 가장 적절한 위치에 주차
    – 다른 차량 움직임, 장애물, 공간 크기를 고려해 경로를 유동적으로 설정
    인공지능

5. 관계성

  • 인공지능은 자동화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자동화는 주로 정형화된 반복 작업에 강하고,
    인공지능은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문제를 다룰 수 있습니다.
  • AI가 포함된 자동화는 ‘지능형 자동화(Intelligent Automation)’ 또는 ‘하이퍼 자동화’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요약

 

항목  인공지능  자동화
핵심 개념 사고하고 판단하는 기계 반복 작업의 기계화
적용 분야 자연어 처리, 자율주행, 의료 진단 등 제조, 사무처리, 공정관리 등
유연성 상황에 따라 유동적 조건이 고정적
학습 능력 있음 없음

이처럼 자동화는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 시스템, 인공지능은 지능적으로 판단하고 학습하는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 둘을 융합하는 방향이 더 많아질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