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공지능’과 ‘자동화’
‘인공지능’과 ‘자동화’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개념이지만, 그 목적과 작동 방식, 적용 범위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은 이 두 개념의 차이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정의의 차이
-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하여 학습, 추론, 판단, 문제 해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예: 챗GPT, 자율주행차, 이미지 인식, 음성비서 등 - 자동화(Automation)
사람이 하던 작업을 정해진 절차와 규칙에 따라 기계나 시스템이 자동으로 수행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예: 공장 로봇 팔, 엘리베이터 작동, 자동문 등
2. 주요 목적
구분 | 인공지능 | 자동화 |
목적 | 사고하고 학습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 | 반복적인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 |
목표 | 지능적인 판단 | 정확한 반복 실행 |
3. 기술적 특징
요소 | 인공지능 | 자동화 |
학습 능력 | 있음 (기계학습, 딥러닝 등) | 없음 (정해진 규칙만 따름) |
상황 대응 |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 가능 | 조건이 바뀌면 오작동 가능성 있음 |
예시 기술 | 챗봇,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 | 엘리베이터, 자동세탁기, 컨베이어벨트 |
4. 예시로 보는 차이
- 자동화된 주차 시스템
– 자동차를 정해진 궤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시켜 주차함
– 정해진 위치, 거리, 센서 기반 움직임
→ 자동화 - AI 기반 자율주행 주차 시스템
– 다양한 주차 공간을 인식하고 판단해 가장 적절한 위치에 주차
– 다른 차량 움직임, 장애물, 공간 크기를 고려해 경로를 유동적으로 설정
→ 인공지능
5. 관계성
- 인공지능은 자동화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자동화는 주로 정형화된 반복 작업에 강하고,
인공지능은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문제를 다룰 수 있습니다. - AI가 포함된 자동화는 ‘지능형 자동화(Intelligent Automation)’ 또는 ‘하이퍼 자동화’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요약
항목 | 인공지능 | 자동화 |
핵심 개념 | 사고하고 판단하는 기계 | 반복 작업의 기계화 |
적용 분야 | 자연어 처리, 자율주행, 의료 진단 등 | 제조, 사무처리, 공정관리 등 |
유연성 | 상황에 따라 유동적 | 조건이 고정적 |
학습 능력 | 있음 | 없음 |
이처럼 자동화는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 시스템, 인공지능은 지능적으로 판단하고 학습하는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 둘을 융합하는 방향이 더 많아질 것입니다.
반응형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할의 실제 사용 사례와 페르소나 설정(system role) (1) | 2025.04.17 |
---|---|
인공지능의 "role" 구분 (0) | 2025.04.16 |
ChatGPT의 여러 버전에 관하여 (1) | 2025.04.14 |
OpenAI의 유료 플랜 비교 (2) | 2025.04.13 |
REST API란 무엇인가?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