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봇에서 마크다운으로 작성된 언어
챗봇에서 작성된 문장은 기본적으로 마크다운으로 작성됩니다.
마크다운이란
마크다운(Markdown)은 문서를 간단한 텍스트 기호만으로 서식 있게 작성할 수 있는 문법입니다. 제목(#), 목록(- 또는 1.), 굵은 글씨(**텍스트**), 인용(>) 등을 사용해 HTML 없이도 깔끔한 문서를 만들 수 있어 블로그, GitHub, 전자책 등에 널리 활용됩니다.
다음은 게임 시나리오를 챗봇이 마크다운 언어로 작성된 소스입니다.

마크다운 언어를 블로그에서 '기본모드'로 보면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
제1막: 피난
씬 1: 첫 만남 - 노인
장소: 안채 마당 (저녁, 총소리 들리는 시점)
설정: 플레이어는 '여인'으로 시작. 마당에서 태극기와 인공기를 번갈아 품에 넣다 꺼내며 고민한다.
효과음: 총소리, 개 짖는 소리, 문 두드리는 소리
노인 (소리만):
"사람 살리소오…"
여인 (혼잣말):
"오메, 이 목소리… 어찌할꼬… 지금은 인공기 보여야 하나… 태극기를 품어야 하나…"
선택지 1:
- 문을 연다
- 노인: "고맙소… 살았소이다…"
- 작가: "이제부터 복잡해지지…"
- 무시한다
- 노인 (소리만): "에잇… 이 고얀 세상…"
- 작가: "전쟁은 사람을 바꿔놓는 법이여…"
-----------------------------------------------------------------------------------
물론 중간에 '블록 인용'은 'HTML' 모드에서 스타일을 조정한 후의 모습입니다. 본래의 모습은 아래와 같은 'style1'이 적용됐습니다. 스타일은 세 종류가 주어졌는데, 챗봇에서 넘어온 소스를 그대로 활용하면 'style1'이 적용됩니다.
"사람 살리소오..."
정리
챗봇에서 작성된 문장은 기본적으로 '마크다운' 언어로 작성됩니다. 이렇게 습득된 내용을 블로그 등의 글에 맞춰 쓰는 방법은 수작업으로 변경할 수도 있으나, 티스토리 경우는 글 작성 모드에 '기본모드', '마크다운', 'HTML'의 세 모드가 있습니다. 이 모드를 잘 활용하면 쉽게 글 형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Chrome의 '페이지 소스 보기'와 '검사'의 차이 (26) | 2024.02.17 |
---|---|
[HTML] 제목이나 주제를 나타내는, Hn 태그 (22) | 2024.02.15 |
[VSCode] Visual Studio Code 편집 중인 HTML 문서 (25) | 2024.02.14 |
[VSCode] Visual Studio Code (26) | 2024.02.14 |
[SVG] 원 그리기 (70) | 202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