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점'과 '초점화'
'시점'과 '초점화'는 소설의 서술 방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두 개념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소설을 읽는 데 있어서 독자의 이해와 몰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시점(Narrative Perspective)
- 정의: 소설에서 사건이나 인물을 바라보는 관점을 의미합니다. 이는 이야기가 누구의 눈을 통해 전달되는지를 결정합니다.
- 유형:
- 전지적 작가 시점: 작가가 모든 인물의 생각과 감정을 알고 전달하는 시점입니다. 독자는 인물들에 대해 작가가 알려주는 만큼만 알 수 있습니다.
- 제한된 제3인칭 시점: 이야기가 한 인물의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 시점에서는 중심 인물의 내면과 생각에 초점을 맞춥니다.
- 제1인칭 시점: 이야기를 전달하는 '나'가 등장 인물 중 하나로, 자신의 관점과 생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 초점화(Focalization)
- 정의: 이야기 내에서 특정 인물이나 사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초점화는 이야기가 어떤 관점을 통해 전달되는지를 넘어, 어떤 부분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지를 나타냅니다.
- 유형:
- 내부 초점화: 한 인물의 내면이나 감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 인물의 생각이나 감정을 깊이 있게 다룹니다.
- 외부 초점화: 인물의 외부적인 행동이나 상황에 초점을 맞춥니다. 내면적 감정보다는 외부적 사건과 행동이 중심이 됩니다.
- 제로 초점화: 특정 인물이나 사건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전체적인 상황을 설명합니다.
이 두 개념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소설의 서술 방식을 형성합니다. 예를 들어,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는 내부 초점화와 외부 초점화가 자유롭게 전환될 수 있지만, 제1인칭 시점에서는 대부분 내부 초점화가 강조됩니다. 이러한 시점과 초점화의 조합은 독자가 소설을 이해하고 감정을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국어국문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유법에서 제유(提喩)와 환유환유(換喩) (0) | 2023.12.20 |
---|---|
N. Frye의 저서 "해석의 해부(Anotomy of Criticism)" (17) | 2023.12.14 |
소설에서 작가의 시점에 대한 이해 (14) | 2023.12.13 |
문학에서 상징법이란? (17) | 2023.12.12 |
후이징가의 '호모 루덴스' (15) |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