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국어국문학과

소설에서 작가의 시점에 대한 이해

by 열공노년 2023. 12. 13.
반응형

다양한 서술자의 시점

  1. 1인칭 주동적(주인공) 시점 (First Person Protagonist Point of View):
    • 이 시점에서 서술자는 이야기의 주인공입니다. '나'라는 인칭을 사용하여 자신의 경험, 감정, 생각을 직접적으로 전달합니다.
    • 이 시점은 주인공의 내면적 갈등과 개인적인 관점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게 해줍니다.
    • 하지만, 서술자가 직접 경험하거나 알지 못하는 사건이나 다른 인물들의 내면에 대해서는 정보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2. 1인칭 관찰자 시점 (First Person Observer Point of View):
    • 여기서 서술자는 이야기의 중심 인물은 아니지만, 주요 사건들을 목격하거나 관련된 인물입니다.
    • 서술자는 '나'라는 인칭으로 주변의 사건이나 다른 인물들을 관찰하고 묘사합니다.
    • 이 시점은 주인공에게는 접근할 수 없는 외부적 관점을 제공하며, 이야기에 다양성과 깊이를 더합니다.
  3. 전지적 작가 시점 (Omniscient Author Point of View):
    •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서술자는 모든 인물의 생각과 감정, 사건에 대해 전지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 서술자는 이야기 속 모든 것을 관통하는 신과 같은 존재로, 여러 인물들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다양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 이 시점은 이야기를 보다 폭넓고 다면적으로 전달하는 데 유용하지만, 때로는 너무 많은 정보로 인해 독자의 몰입이 분산될 수도 있습니다.
  4. 작가 관찰자 시점 (Objective Point of View):
    • 작가 관찰자 시점은 서술자가 객관적인 카메라나 관찰자의 역할을 하는 시점입니다.
    • 이 시점에서 서술자는 인물들의 내면적 생각이나 감정을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외부적인 행동이나 대화만을 중립적으로 전달합니다.
    • 이는 독자가 인물들의 행동과 대화를 통해 스스로 의미를 추론하게 만들며, 때로는 보다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서술을 가능하게 합니다.

각각의 시점은 소설의 톤과 스타일, 그리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따라 선택됩니다. 작가는 이러한 다양한 시점을 통해 이야기를 풍부하고 다층적으로 전개할 수 있으며, 독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이야기를 경험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