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Git 기본 사용법 요약
📌 Git의 기본 개념
Git은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파일의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협업 시 변경 사항을 병합하거나 복원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Git 기본 작업 흐름 (3단계)
- 작업 디렉터리에서 변경
- git add :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지 영역"에 올림
- git commit : 스테이지에 올린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
- git push : 로컬 저장소의 커밋을 "원격 저장소(GitHub 등)"로 전송
✍️ 자주 사용하는 Git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git init | 현재 폴더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 |
git status | 현재 Git 상태 (변경됨, 스테이징 여부 등) 확인 |
git add . | 모든 변경 파일을 스테이지에 추가 |
git add 파일명.py | 특정 파일만 스테이지에 추가 |
git commit -m "메시지" | 커밋 메시지와 함께 로컬 저장소에 저장 |
git push origin main | 원격 저장소(origin)의 main 브랜치로 업로드 |
git log | 커밋 이력 출력 (상세 정보 포함) |
git log --oneline | 한 줄 요약 형태의 커밋 목록 출력 |
git log --oneline -n 1 | 가장 최근 커밋 1개를 간단히 출력 |
git remote add origin [URL] | 원격 저장소 연결 |
git branch | 현재 브랜치 확인 |
git checkout -b [브랜치명] | 새 브랜치 생성 및 전환 |
git pull origin main | 원격 저장소로부터 최신 변경 사항 가져오기 |
🧹 Git 관리 팁
- .gitignore 파일을 만들어 불필요한 파일 추적 방지:
- __pycache__/ *.pyc .env db.sqlite3 venv/
- 커밋 메시지는 변경 내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
- ❌ "수정함"
- ✅ "Fix typo in README and ignore pycache"
🛠 실습 예시
# Git 초기화
git init
# 원격 저장소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명/저장소명.git
# 파일 변경 후
git add .
git commit -m "최초 커밋"
git push -u origin main
📚 추천 학습 루트
- 단일 파일 버전 관리 실습
- .gitignore 설정
- GitHub와 연동 (push/pull)
- 브랜치 관리 및 충돌 해결
반응형
'도서로 공부하는 프로그래밍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v 파일을 GitHub에서 제거하고 무시 처리하는 방법 (2) | 2025.05.05 |
---|---|
GitHub에 projects 폴더 올리는 방법 (0) | 2025.05.04 |
[Git] GitHub에서 리포지토리 삭제 방법 (2) | 2025.05.03 |
[Git] Git 활용법: 특정 파일 확장자 커밋 제외하기 - .gitignore 설정 가이드 (27) | 2024.02.14 |
[Git] 커밋(Commit)에 포함된 정보 (26)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