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
는 일반적으로 코드나 명령어에서 주석을 표시하는 용도로 쓰입니다. 주석은 AI가 인식하지 않고 무시하도록 하여, 작업 지시나 메모를 남길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작성에서 #
를 사용하는 주요 용도
- 작업지시와 내용 구분: 예를 들어, 프롬프트에 여러 정보를 포함할 때 #를 사용하면 작업지시, 입력데이터, 맥락정보, 출력 형식 등 세부 조건을 AI가 구분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AI는 # 이후 내용을 명령으로 해석하지 않고 참조만 하기 때문에, 지시와 실제 작업 구분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의사소통 간소화: #로 구분된 부분을 통해 AI에게 작업 조건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 불필요한 정보 제외: AI가 분석에 불필요한 정보를 무시하게 해, 작업 내용을 간결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로 주석 처리된 부분은 작업의 흐름에 포함되지 않으며, 정보 제공자나 학습자에게 필요한 배경 설명을 AI가 자동으로 무시하도록 합니다.
# 작업지시: 중세국어의 주요 특징을 설명해줘.
# 맥락정보: 학습 초보자에게 간단한 설명이 필요함.
정리
이렇게 #
는 AI가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내어 작업의 핵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 프롬프트의 명확성과 효과를 높여줍니다.
반응형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s Processing Unit) (5) | 2024.10.31 |
---|---|
챗봇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지시 유형 (7) | 2024.10.29 |
[ChatGPT] 효과적인 프롬프트 조건 (9) | 2024.10.27 |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딥페이크 (5) | 2024.10.11 |
[인공지능] 대화형 인공지능, Claude (46) |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