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기본 사용법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은 코드 작성, 실행, 데이터 분석 등을 쉽게 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주피터 노트북의 기본 사용법을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주피터 노트북 설치 및 실행
설치 방법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하려면 먼저 Python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다음 pip
를 사용하여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합니다.
pip install notebook
실행 방법
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이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합니다.
jupyter notebook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웹 브라우저가 열리면서 주피터 노트북 인터페이스가 표시됩니다.
2. 주피터 노트북 인터페이스 이해
파일 탭
주피터 노트북이 실행되면 기본 파일 탐색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새 노트북을 만들거나 기존 노트북을 열 수 있습니다. 새 노트북을 만들려면 오른쪽 상단의 New
버튼을 클릭하고 Python 3
을 선택합니다.

셀(Cell)
주피터 노트북의 기본 작업 단위는 셀(Cell)입니다. 셀은 코드 셀과 마크다운 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코드 셀(Code Cell): Python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셀입니다.
- 마크다운 셀(Markdown Cell):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는 셀로, 마크다운(Markdown) 문법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셀을 추가하려면 상단 메뉴에서 Insert
를 클릭하고, 코드 셀이나 마크다운 셀을 선택하면 됩니다.
3. 코드 실행
코드 작성 및 실행
코드 셀에 Python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려면 셀을 선택한 후 Shift + Enter
를 누르거나 셀 왼쪽의 실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print("Hello, Jupyter!")
위 코드를 실행하면 Hello, Jupyter!
라는 출력 결과가 표시됩니다.

4. 마크다운 사용법
마크다운 셀 작성 및 실행
마크다운 셀을 선택하고 텍스트를 작성한 후 Shift + Enter
를 눌러 실행하면 서식이 적용된 텍스트가 표시됩니다.
# 제목
## 부제목
### 소제목
- 리스트 항목 1
- 리스트 항목 2
- 리스트 항목 3
**굵게**와 *기울임* 텍스트
위 예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텍스트가 표시됩니다.
제목
부제목
소제목
- 리스트 항목 1
- 리스트 항목 2
- 리스트 항목 3
굵게와 기울임 텍스트
5. 데이터 시각화
주피터 노트북은 데이터 시각화에 매우 유용합니다. matplotlib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그래프를 그려보겠습니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데이터 준비
x = [1, 2, 3, 4, 5]
y = [10, 20, 25, 30, 40]
# 그래프 그리기
plt.plot(x, y)
plt.xlabel('X 축')
plt.ylabel('Y 축')
plt.title('샘플 그래프')
plt.show()
위 코드를 실행하면 간단한 선 그래프가 표시됩니다.

6. 파일 저장 및 종료
노트북 저장
주피터 노트북 파일(.ipynb)을 저장하려면 상단 메뉴에서 File
을 클릭하고 Save and Checkpoint
를 선택합니다. 또는 상단 툴바의 저장 버튼을 클릭할 수도 있습니다.
노트북 종료
작업이 끝난 후 주피터 노트북을 종료하려면 터미널에서 Ctrl + C
를 눌러 서버를 종료합니다. 또한, 브라우저 탭을 닫으면 됩니다.
7. 확장 기능 및 플러그인
주피터 노트북은 다양한 확장 기능과 플러그인을 제공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bextensions
를 설치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pip install jupyter_contrib_nbextensions
jupyter contrib nbextension install --user
설치 후 주피터 노트북 인터페이스에서 확장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결론
주피터 노트북은 코드 작성, 데이터 분석, 시각화, 문서 작성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기본 사용법을 통해 주피터 노트북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할 경우 공식 문서와 다양한 온라인 튜토리얼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데이터과학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피터 노트북] 파이썬 변수 사용법 (36) | 2024.07.07 |
---|---|
[주피터 노트북] 효율적 수행을 위한 단축키 (2) | 2024.07.06 |
[주피터 노트북]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에서 할 수 있는 일들 (3) | 2024.07.04 |
주피터 노트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마술 명령어(Magic Commands) (3) | 2024.06.29 |
지리정보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48)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