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디렉터리에서 VSCode 프로그램 여는 방법
탐색기에서 디렉터리 이동
탐색창을 이용하여 해당 폴더로 이동합니다. 주소창의 경로는 ' Breadcrumbs'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이 방식은 현재 사용자가 있는 디렉터리의 계층 구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각 부분을 클릭하여 빠르게 상위 폴더로 이동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내 PC > 문서 > GitHub > NodeJS > knowJS'라는 경로가 이 방식으로 표현된 것입니다. 사용자는 이 경로의 각 부분을 클릭하여 해당 폴더로 즉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클릭하면 '전체 경로' 형식으로 변경됩니다. 이 방식은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문자열로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C:\Users\user\Documents\GitHub\NodeJS\knowJS'라는 형태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이 문자열을 복사하거나 직접 입력하여 다른 프로그램에서 해당 경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맨드 프롬프트 입력
'cmd'라고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는 것은 '파일 탐색기' 내에서 특정 명령을 실행하는 동작입니다. 여기서 'cmd'는 파워셀을 실행하는 명령입니다.
입력한 명령에 의해 아래와 같은 '파워 셀'이 실행됩니다.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원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사용법은 역시 '파워 셀'을 여는 것입니다.
'파워 셀'은 커맨드 라인 명령어뿐만 아니라 스크립팅 언어 기능도 포함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크로스 플랫폼(Windows, Linux, macOS) 자동화 프레임워크입니다.
여기서의 명령어는 'code .'입니다. VSCode 실행 명령인데, '.'은 현 디렉터리에서 실행을 시켜달라는 위치 정보입니다. '.'은 현재 디렉터리, '..'은 상위 디렉터리를 의미합니다.
정리
VSCode는 프로젝트 디렉터리에서 폴더를 열어서 작업하기 때문에 실행 자체를 해당 폴더로 진입해서 프로그램을 시키는 것이 의미가 있습니다. 해당 디렉터리 변경은 탐색기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쉽습니다.
'도서로 공부하는 프로그래밍 > 코딩 자율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K6를 통한 성능 테스트 (25) | 2024.04.01 |
---|---|
[NodeJS] 서버 성능 테스트, K6 (23) | 2024.03.31 |
[NodeJS] Node.js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주의사항 (26) | 2024.03.30 |
백엔드 개발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용 (25) | 2024.03.29 |
[NodeJS] Node.js 기능 (24)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