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뭉성님을 위한 스마트교육/디지털 심화

메모장에서 만나는 인코딩의 여러 방식

by 열공노년 2024. 3. 19.
반응형

메모장에서 만나는 인코딩 방식

'인코딩' 드롭다운 목록에서는 텍스트 파일을 저장할 때 사용할 문자 인코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인코딩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모장에서 만나는 여러 인코딩 옵션

  1. ANSI - 이 인코딩은 기본적으로 윈도에서 사용하는 인코딩으로, 특정 언어에 대해 최적화된 문자 세트를 사용합니다. 한글 윈도에서는 보통 CP949를 말하며, 한글 문자를 포함하여 사용합니다.
  2. UTF-8 - 이 인코딩은 유니코드를 사용하는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담을 수 있어 가장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3. UTF-16 LE와 UTF-16 BE - 이는 16비트 유니코드 변환 형식을 의미합니다. 'LE'는 리틀 엔디언, 'BE'는 빅 엔디언을 나타냅니다. 이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플랫폼 간 호환성을 위해 제공됩니다.
  4. UTF-8 BOM - 'BOM'은 바이트 순서 표시(Byte Order Mark)를 의미합니다. 이는 파일이 UTF-8로 인코딩 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특수한 문자열을 파일의 시작 부분에 포함시킵니다.

텍스트 파일을 저장할 때 올바른 인코딩을 선택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한국어 문자가 포함된 텍스트를 다룰 때는 ANSI를 사용하면 호환성 문제로 인해 다른 컴퓨터에서 파일을 열었을 때 글자가 깨질 수 있습니다. 반면, UTF-8은 국제적으로 호환성이 높기 때문에 다양한 언어를 포함한 문서를 교환할 때 권장됩니다.

 

인코딩을 선택하는 단계

  1. '텍스트 문서 (*.txt)' 형식으로 저장할 파일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2. 인코딩 옵션을 클릭하여 드롭다운 목록을 엽니다.
  3. 목록에서 원하는 인코딩 방식을 선택합니다. 한글 내용이 포함된 문서의 경우 UTF-8이나 UTF-8 BOM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안전합니다.
  4. 선택이 완료되면 '저장'을 클릭하여 파일을 저장합니다.

정리

파일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때나 다른 플랫폼에서 사용할 예정이라면 UTF-8 인코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문자가 깨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파일이 다양한 시스템과 호환되도록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