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멘토와 함께하는 공부/HTML

[HTML] DOM(문서 객체 모델)이 작동하는 원리

by 열공노년 2023. 12. 23.
반응형

HTML에서 DOM(Document Object Model)이 작동하는 원리

HTML에서 DOM(Document Object Model)이 작동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입니다.

  1. DOM의 기본 개념: DOM은 HTML 문서의 구조화된 표현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가 문서 구조, 스타일, 내용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DOM은 문서를 노드(node)의 트리로 취급하며, 각 노드는 HTML 문서의 일부분(예: 태그, 속성, 텍스트 등)을 나타냅니다.
  2. HTML 문서와 DOM의 관계: 브라우저는 HTML 문서를 불러올 때 이를 DOM으로 변환합니다. 이 과정에서 HTML 태그들은 DOM 트리의 다양한 노드로 변환되어 상호작용이 가능한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됩니다.
  3. DOM 트리의 구조: DOM 트리는 루트(보통 document 객체)에서 시작하여 여러 자식 노드로 분기됩니다. 각 노드는 자신만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런 구조를 통해 전체 문서의 계층적 구조가 형성됩니다.
  4. DOM 조작: 개발자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DOM 노드를 조회,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적으로 웹페이지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사용자 상호작용에 반응할 수 있습니다.
  5. 이벤트 처리: DOM은 이벤트를 지원합니다. 사용자의 클릭, 키보드 입력, 마우스 움직임 등의 동작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반응으로 함수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6. 성능 고려사항: DOM 조작은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일 수 있습니다. DOM 요소가 많거나 자주 변경되는 경우, 웹페이지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DOM 조작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최신 웹 표준과 DOM: HTML5와 같은 최신 웹 표준은 DOM을 더욱 풍부하고 강력하게 확장했습니다. 새로운 API와 기능들을 통해 더 다양한 방식으로 웹 페이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DOM은 웹 개발의 근본적인 요소이며, 웹 페이지가 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웹 개발자라면 DOM의 작동 원리와 효율적인 활용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