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arkup'과 'Markdown' 비교 설명
Markup
- 정의: Markup 언어는 텍스트에 메타데이터나 구조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HTML, XML 등이 이에 속합니다.
- 특징
- 태그(Tag)를 사용해 텍스트에 정보를 부여
- 데이터의 구조와 스타일을 모두 지정할 수 있음
- 복잡한 구조의 웹 문서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 장점
- 정교한 스타일과 구조 지정 가능
-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다룰 수 있음
- 유연한 데이터 교환 가능
- 단점
- 학습 곡선이 높음
- 태그가 많아질수록 코드가 복잡해짐
- 사용 예
- 웹 페이지 제작 (HTML)
- 데이터 저장 (XML)
Markdown
- 정의: Markdown은 텍스트를 HTML로 변환하는 경량 마크업 언어입니다.
- 특징
- 특수 문자와 일반 텍스트를 사용해 형식을 지정
- 읽기 쉽고 작성하기 쉬움
- 주로 간단한 웹 문서나 텍스트 문서에 사용
- 장점
- 학습하기 쉬움
- 코드가 간결해서 가독성이 좋음
- 빠르게 문서 작성 가능
- 단점
- 복잡한 스타일과 구조를 지원하지 않음
- 확장성이 제한적
- 사용 예
- 블로그 글 작성
- 간단한 웹 페이지 작성
- README 파일 작성
결론
Markup 언어는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할 때 유용합니다. 반면, Markdown은 간단하고 빠르게 문서를 작성할 때 적합합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언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도서로 공부하는 프로그래밍 > 코딩 자율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을 설치한 후에 최초 실행 (59) | 2023.11.11 |
---|---|
[Python] Windows에서 파이썬 설치 (61) | 2023.11.10 |
[HTML] HTML에서 텍스트를 강조하는 방법 (55) | 2023.11.04 |
[HTML] HTML에서 이미지 다루기 (53) | 2023.11.03 |
[HTML] HTML에서 링크 다루기 (58)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