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로 공부하는 프로그래밍/코딩 자율학습

[HTML] 'Markup'과 'Markdown' 비교 설명

by 열공노년 2023. 11. 5.
반응형

'Markup'과 'Markdown' 비교 설명

Markup

  1. 정의: Markup 언어는 텍스트에 메타데이터나 구조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HTML, XML 등이 이에 속합니다.
  2. 특징
    • 태그(Tag)를 사용해 텍스트에 정보를 부여
    • 데이터의 구조와 스타일을 모두 지정할 수 있음
    • 복잡한 구조의 웹 문서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3. 장점
    • 정교한 스타일과 구조 지정 가능
    •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다룰 수 있음
    • 유연한 데이터 교환 가능
  4. 단점
    • 학습 곡선이 높음
    • 태그가 많아질수록 코드가 복잡해짐
  5. 사용 예
    • 웹 페이지 제작 (HTML)
    • 데이터 저장 (XML)

Markdown

  1. 정의: Markdown은 텍스트를 HTML로 변환하는 경량 마크업 언어입니다.
  2. 특징
    • 특수 문자와 일반 텍스트를 사용해 형식을 지정
    • 읽기 쉽고 작성하기 쉬움
    • 주로 간단한 웹 문서나 텍스트 문서에 사용
  3. 장점
    • 학습하기 쉬움
    • 코드가 간결해서 가독성이 좋음
    • 빠르게 문서 작성 가능
  4. 단점
    • 복잡한 스타일과 구조를 지원하지 않음
    • 확장성이 제한적
  5. 사용 예
    • 블로그 글 작성
    • 간단한 웹 페이지 작성
    • README 파일 작성

결론

Markup 언어는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할 때 유용합니다. 반면, Markdown은 간단하고 빠르게 문서를 작성할 때 적합합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언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