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습 방법

[마인드맵 학습] 노트의 한계를 극복하는, 마인드맵

by 열공노년 2023. 9. 25.
반응형

마인드맵

토니 부잔(Tony Buzan)은 '마인드 맵(Mind Map)'의 창시자입니다. 마인드 맵은 정보와 아이디어를 구조화하고 시각화하는 도구로, 생각의 흐름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 기법은 학습, 기억, 창의력, 기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ThinkWise의 마인드맵 프로그램

Thinkwise의 마인드맵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디지털 마인드맵 툴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직관적인 UI와 사용하기 쉬운 기능, 다양한 템플릿과 테마, 강력한 협업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Thinkwise의 마인드맵 프로그램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클릭만으로 간단하게 마인드맵을 만들 수 있으며, 다양한 도형과 색상을 사용하여 마인드맵을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용도에 맞는 템플릿을 사용하여 마인드맵을 빠르게 만들 수 있으며, 원하는 테마로 마인드맵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ThinkWise로 작성하는 마인드맵

토니부잔의 마인드맵 원리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쉽게 접근하도록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 'Thinkwise' 프로그램입니다. 컴퓨터로 마인드맵을 작성하는 것은 이미지를 그리기가 어렵습니다. 토니부잔의 마인드맵에서 강조하는 것은 '개념의 이미지화'였는데, 컴퓨터에서는 간단한 이미지 구성은 어렵습니다. 그런 면에서 '창의성'에서는 못 미치지만 컴퓨터용 마인드맵 프로그램도 공간의 한계를 넘어선다는 점에서는 여러모로 장점이 많습니다.

 

방송대 학습에서 마인드맵

방송대 학습은 출석수업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집니다. '노트 필기'는 학습에 집중하는 필수 기능입니다. 그냥 모니터를 통한 수강은 집중을 헤치고 졸음을 몰아오기 쉽습니다. 역시 손에 필기도구를 잡고 교과서와 모니터를 동시에 보면서 노트를 통해 요약하는 것 이상으로 좋은 방법은 없습니다.

 

그 대안으로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이 컴퓨터를 통한 마인드맵입니다. Thinkwise는 웹버전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터넷이 되는 환경에서는 주소(thinkwise.co.kr)를 연결하여 마인드맵 문서를 만들면 됩니다. 물론 클라우드 서비스이기 때문에 어디서든 인터넷 환경에서는 맵치기가 가능합니다.

2023년 1학기 과제 마인드맵

마인드맵은 본래는 중앙에서 생각 고리를 연장하면서 밖으로 확산하는 '방사형'이 기본이었습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되면서 여러 방법이 적용됩니다. 방사형 외에도 리스트 형 등의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됐습니다. 저는 '방사형'이 익숙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방사형으로 가운데부터 채워나갑니다.

 

추가하기도 쉽고, 변경하거나 제거하는 것도 쉽습니다. 가지를 선택하여 지우면 되고 추가할 위치를 찾아 적절한 가지를 만들어 입력하면 됩니다. 아쉬운 것은 '토니부잔'이 강조했던 이미지 사용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대신 오른편의기호나 이미지 또는 다양한 도구를 이용합니다. 특히 기호를 많이 사용합니다. 순서를 매길 때는 숫자 기호를, 아이디어가 독특할 때는 '반짝이는 전구알' 기호를 통해 아쉬움을 달랩니다.

Thinkwise의 다양한 입력 도구들

반응형